65세 이상 고령자 인구가 늘어나면서, 변실금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 1월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8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올해 국내 65세 이상 인구는 738만1000명으로 전체 인구(5163만5000명)의 14.3%를 차지한다. 이에 따라 각종 노인질환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대표적인 노인질환으로는 대체로 골다공증, 치매, 류마티스 관절염, 전립선 질환, 변실금 등을 꼽는다. 이중 환자들이 가장 감추는 질환으로 알려진게 변실금이다.

변실금은 대변 배출의 조절 장애로 대변이 항문 밖으로 새어 나오는 질환이다. 가스가 새는 가벼운 증상부터, 변 덩어리가 하루에도 몇 차례씩 나오기도 한다. 변실금은 환자에게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일으켜 대인기피, 우울 증상 등의 정신과적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원인은 분만, 괄약근 손상, 당뇨. 뇌졸중, 뇌종양 등 매우 다양하지만 대체로 환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증상의 발현이 높고, 악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진료내역 통계에 따르면 60세 이상 고령환자가 전체 환자의 71.8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치료법으로는 식이조절과 함께 지사제류의 약물요법, 지지요법을 병행한다. 지지요법은 환자를 이해하고 위로해 적응능력을 향상시키는 일종의 정신요법이다. 분만·수술 등 과거 병력 청취와 배변·변실금 횟수 등을 자세히 청취하고 정해진 시간에 배변하기 등 증상 완화를 위한 생활 방식을 유도하는 치료법이다. 변실금의 경우, 증상이 증상인만큼 의료진 앞에서도 자세한 증상을 감추기 일수여서 지지요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외에 케겔 훈련, 바이오피드백 치료 등이 대표적인 비침습적 치료법으로 꼽힌다. 바이오피드백은 미국·유럽 등에서 변실금 치료에 활발히 시행하고 있는 치료법이다. 배변을 조절하는 골반과 괄약근이 수축 혹은 이완하는 과정을 모니터를 통해 환자가 직접 보고 들으며 스스로 조절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약물 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없고 치료 효과 또한 매우 뛰어나지만 국내에서는 보험 수가가 낮아 일부 대형병원과 몇몇 전문병원을 제외하고는 개원가에서 쉽게 적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괄약근 성형술, 주사요법, 인공괄약근 삽입, 천추신경 자극술 등의 다양한 치료법도 증상이 심한 환자에서 시행할 수 있으나 국내에서는 보험적용이 되지 않거나 적용된다 하더라도 고가로, 실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대한대장항문학회 이우용 이사장은 "변실금은 현재 정확한 데이터 부족으로 보험 수가를 책정하기 어렵고, 유병률은 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인식이나 관리가 매우 미흡한 편"이라며 "대한대장항문학회는 앞으로 수 년간 변실금과 관련한 정확한 데이터 축적과 치료를 위한 연구에 힘을 쏟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한대장항문학회는 오는 4월 5일부터 3일간 제52차 춘계 학술대회를 제주에서 개최한다. 춘계 학술대회에서 변실금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를 모으기 위한 연구용역의 중간 결과를 듣는 정책 세션을 마련하는 등, 관련 전문가들의 강연과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